연구 논문을 위한 설문 문항을 작성하려면 체계적인 계획이 필요합니다. 설문 계획을 세우고 문항을 만드는 과정을 확인해 보세요.

1. 연구 목적 및 가설 설정

  • 연구 논문의 주제를 명확히 정의합니다.
  •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 또는 연구 질문을 구체적으로 설정합니다.
  • 어떤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는지 개략적으로 정리합니다.

2. 설문 대상 선정

  • 연구 대상(표본)을 명확하게 정합니다.
  • 대상자의 연령, 직업, 지역, 성별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합니다.
  • 표본 크기를 결정하고 표집 방법(무작위 표집, 층화 표집 등)을 계획합니다.

3. 설문 방식 결정

  • 온라인 설문, 대면 인터뷰, 전화 조사 등 적절한 설문 방식을 선택합니다.
  • 응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합니다(예: 보상 제공, 설문지 간결화 등).

4. 설문 문항 유형 정하기

  • 폐쇄형 문항: 객관식, 5점 또는 7점 리커트 척도, 예/아니오 질문 등
  • 개방형 문항: 응답자가 자유롭게 서술할 수 있는 주관식 질문
  • 혼합형 문항: 객관식 응답 후 추가 설명을 요구하는 형태
  • 분석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는 폐쇄형 문항으로 진행하는 것이 편합니다.

5. 문항 구성 및 작성

  • 연구 가설 및 변수에 맞는 질문을 작성합니다.
  • 질문은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작성합니다.
  • 중복되거나 응답자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질문을 피합니다.
  • 부적절한 유도 질문(예: “이 제품이 좋다고 생각하시죠?”)을 삼갑니다.

6. 설문지 구조 설계

  • 도입부: 설문 목적, 응답자의 익명성 보장, 응답 시간 안내 등 포함
  • 본론: 주요 연구 변수 관련 질문 배치
  • 인구통계학적 문항: 마지막에 응답자의 연령, 성별, 직업 등 포함

7. 사전 테스트 (파일럿 테스트)

  • 소규모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문항의 명확성과 응답 흐름을 점검합니다.
  • 모호한 문항이 있는지 확인하고 수정합니다.
  • 응답 시간이 적절한지 점검합니다.

8. 본 설문 조사 진행

  • 사전 테스트에서 수정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본 조사 진행
  • 응답률을 높이기 위한 리마인드 또는 추가 유도 방법 고려

9.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준비

  • 설문 응답을 정리하고 통계 프로그램(SPSS, R, Excel 등)을 사용하여 데이터 정리
  • 분석 계획(기술통계, 신뢰도 분석, 가설 검증 등)을 수립

온라인 무료 설문 사이트 올 서베이넷 바로가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