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-검증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.
두 그룹 간 평균 비교
표본 크기가 작을 때 (n < 30)
변수가 연속형이고 정규성을 만족할 때
T-검증은 크게 독립표본 T-검증, 대응표본 T-검증, 일표본 T-검증 세 가지가 있습니다.
데이터 입력
분석 실행
결과 해석
데이터 입력
분석 실행
결과 해석
데이터 입력
분석 실행
결과 해석
정규성 검정 (Kolmogorov-Smirnov 또는 Shapiro-Wilk Test)
등분산 검정 (Levene’s Test)
표본 크기
SPSS에서 T-검증을 수행할 때는 먼저 데이터의 정규성을 확인하고, 적절한 T-검증 방법을 선택한 후 분석을 진행해야 합니다. 결과 해석 시 p-value를 확인하여 두 그룹 간 차이가 유의한지를 판단하면 됩니다.
상관관계 분석은 두 변수 간의 관계가 얼마나 밀접한지를 측정하는 통계 기법입니다.
다음과 같은 경우에 상관관계를 사용합니다.
두 변수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싶을 때
변수 간 선형적 관계(linear relationship)가 있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
변수 간 인과관계를 가정하지 않고 연관성만 분석할 때
회귀 분석을 수행하기 전에 변수 간 관련성을 파악할 때
SPSS에서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릴게요.
r 값 범위 | 상관관계 정도 |
---|---|
0.00 ~ 0.19 | 매우 약한 관계 |
0.20 ~ 0.39 | 약한 관계 |
0.40 ~ 0.59 | 보통의 관계 |
0.60 ~ 0.79 | 강한 관계 |
0.80 ~ 1.00 | 매우 강한 관계 |
SPSS 출력 결과는 보통 행렬 형태로 제공되며, 변수가 여러 개일 경우 모든 변수 간 상관관계를 보여줌.
예제:
공부 시간 | 시험 점수 | |
---|---|---|
공부 시간 | 1.000 | 0.75** |
시험 점수 | 0.75** | 1.000 |
정규성 검정
선형성 검정
이상치(Outliers) 확인
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없음
공변량 문제(Covariate Confounding)
비선형 관계를 감지하지 못함
회귀분석은 한 변수(종속변수, Y)가 다른 변수(독립변수, X)의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하고, 이 관계를 수식으로 나타내는 통계 기법입니다.
다음과 같은 경우에 회귀분석을 사용합니다.
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싶을 때
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수량적으로 측정하고 싶을 때
미래 값을 예측하고 싶을 때
두 개 이상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분석하고 싶을 때
변수별 데이터를 열(Column)에 입력, 한 행(Row)은 한 개체(응답자)
응답자 | 공부 시간 (X) | 학원 여부 (X) | 시험 점수 (Y) |
---|---|---|---|
1 | 2 | 1 | 60 |
2 | 3 | 0 | 70 |
3 | 5 | 1 | 85 |
4 | 1 | 0 | 50 |
5 | 4 | 1 | 80 |
회귀분석을 수행할 때, 다음 가정을 만족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상관관계가 인과관계를 의미하지 않음
비선형 관계를 설명할 수 없음
이상치(Outliers)가 결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
신뢰도 분석은 설문지나 척도의 일관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
신뢰도 분석은 측정 도구(설문지, 검사, 평가 척도 등)가 일관되게 측정하는지를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.
설문 문항의 일관성 검토
심리 척도(Psychometric Scale)의 신뢰성 평가
테스트-재테스트 신뢰도 평가
변수들 간의 내적 일관성 검토
크론바흐 알파(α) 값 | 신뢰도 수준 |
---|---|
0.90 이상 | 매우 높음 (Excellent) |
0.80 ~ 0.89 | 높음 (Good) |
0.70 ~ 0.79 | 보통 (Acceptable) |
0.60 ~ 0.69 | 낮음 (Questionable) |
0.50 ~ 0.59 | 매우 낮음 (Poor) |
0.50 미만 | 신뢰할 수 없음 (Unacceptable) |
예시) 고객 만족도 설문 (1~5점 척도)
응답자 | 문항1 | 문항2 | 문항3 | 문항4 | 문항5 |
---|---|---|---|---|---|
1 | 4 | 5 | 4 | 3 | 4 |
2 | 3 | 4 | 3 | 2 | 3 |
3 | 5 | 5 | 5 | 4 | 5 |
... | ... | ... | ... | ... | ... |
출력 결과에서 "Reliability Statistics" 부분을 확인하면 크론바흐 알파 값이 나타남.
예제:
출력 결과에서 "Item-Total Statistics" 테이블을 확인
신뢰도가 너무 낮을 경우(α < 0.7), 개선 방법
신뢰도가 너무 높은 경우(α > 0.9), 개선 방법
내적 일관성만 평가 가능
문항 수에 따라 값이 영향받음
이분형 문항(예: Yes/No 질문)에 적절하지 않음
카이제곱 검정은 범주형 변수 간의 독립성 또는 적합성을 검정하는 통계 기법입니다.
SPSS 데이터 시트에 범주형 데이터를 입력해야 합니다.
응답자 | 성별 (Gender) | 제품 선호도 (Preference) |
---|---|---|
1 | 남자 | 선호함 |
2 | 여자 | 선호하지 않음 |
3 | 남자 | 선호함 |
4 | 여자 | 선호함 |
5 | 남자 | 선호하지 않음 |
이 검정은 특정 분포(예: 예상 비율)를 따르는지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.
데이터가 5 미만인 셀이 많으면 결과가 왜곡될 수 있음
상관관계는 알 수 있지만, 인과관계는 확인할 수 없음
샘플 크기가 작을 경우 검정력이 낮음